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ecovery GRUB on Kubuntu(Ubuntu)

Kubuntu(Ubuntu) 가 설치된 PC 에 Windows 7 을 설치하게되면, 독점적으로 Windows 7 을 MBR 을 Windows 의 것으로 대체시킨다.
이때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1. Booting 가능한 Kubuntu CD 혹은 Live Desktop CD 로 부팅한다. (부팅 메뉴에서 설치하지 않고 Kubuntu 실행해 보기 와 같은 내용의 메뉴로 진입한다.)
2. Booting 이 완료된 후, Terminal 창을 띄운다.
#sudo -i
#fdisk -l
Disk Partition 정보가 보일 것이다. 여기에서 System 열에 Linux 혹은 ext2 로 보이는 줄의 Device 명을 확인한다. 즉, Linux 가 설치된 Partition 이다. 여기서는 /dev/sda3 로 예를든다.
3. Kubuntu 설치된 Partition 을 Mount 할 Directory 를 생성한다.
#mkdir /media/rootdsk
4.Mount 시킨다.
#mount /dev/sda3 /media/rootdsk
5. GRUB 를 해당 Partition 에 설치한다.
# grub-install --root-directory=/media/rootdsk /dev/sda
(참고) 경고가 뜨면,
# grub-install --root-directory=/media/rootdsk /dev/sda --recheck

6. 설치가 완료되면,
Installation finished. No error reported 라로 표시된다.


다음은 기존에 Windows XP 가 설치되었었는데 Windows 7 으로 Upgrade 한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다.
GRUB 복구는 위와 같이 수행한다.
복구를 정상적으로 하고 Windows 으로 Booting 하면, Unknown device... 라고 메세지가 뜨면서 부팅할 것이다.
이럴 경우, Linux 로 부팅하여 Terminal 을 띄우고,

update-grub 를 수행하여 GRUB Configuration File 을 새로 고쳐주어야 한다.

/etc/grub.d$ sudo update-grub
Generating grub.cfg ...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2.6.32-22-generic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2.6.32-22-generic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2.6.32-21-generic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2.6.32-21-generic
Found memtest86+ image: /boot/memtest86+.bin
Found Windows Vista (loader) on /dev/sda1
Found Windows 7 (loader) on /dev/sda2
done


원인은 Windows 새로 설치되면서 uuid 값이 변경되어 발생된 문제이다.
#more /boot/grub/grub.cfg
<중략>
menuentry "Windows 7 (loader) (on /dev/sda2)" {
insmod ntfs
set root='(hd0,2)'
search --no-floppy --fs-uuid --set 3638b69338b6521b
chainloader +1
}
위의 굵게표시된 16진수 값이 갱신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제에 나와있는 값을 그대로 입력하면 안된다.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이렇게 한 이후, Windows 로 부팅하면 Error 메세지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buntu (Kubuntu) 에 desktop 파일 만들기

Package 관리자등을 통해 직접 Repository 에 있는 Application 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경로와 파일, Category 로 분류된 Icon 등록 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나 firefox, eclipse 등 새로운 버전을 새로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시작메뉴에 등록시킬 수 있다. 다음은 eclipse-SDK-3.6-linuxx-gtk.tar.gz 을 받아 설치 등록하는 것을 예로 든다. 1. 다운받은 파일을 /usr/lib에 압축해제한다. (물론, super user 계정으로 실행해야 한다.) 2. 보통의 경우, /usr/bin Directory 는 PATH 에 물려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실행 파일을 만들어 놓는다. # cd /usr/lib # chmod +x eclipse # cd /usr/bin # sudo nano eclipse eclipse 파일에는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여 넣는다. export ECLIPSE_HOME="/usr/lib/eclipse" $ECLIPSE_HOME/eclipse $ * # sudo chmod 755 eclipse 3. Desktop Menu 에 추가하려면 # cd /usr/share/applications # sudo nano eclipse.desktop [Desktop Entry] Encoding=UTF-8 Name=Eclipse Comment=Eclipse IDE Exec=eclipse Icon=/usr/lib/eclipse/icon.xpm Terminal=false Type=Application Categories=GNOME;Application;Development' StartupNotify=true 이렇게 입력한 파일을 저장하면, 시작메뉴 > 개발 > Eclipse 아이콘이 생성되어 메뉴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게된다.

VC++(MFC)에서 ADO와 ADOX를 이용한 MDB 파일 생성 / 연동 / 압축에 관한 모든 것

VC++(MFC)에서 MDB 생성 / 압축 / 연동 □ 개 요 ○ Access로 생성하는 DB 파일인 MDB 파일의 생성과 압축 및 기본 DB연동(데이터의 추가, 삭제, 검색, 수정)에 대한 내용 ○ 다이얼로그 기반의 MFC 프로젝트 상에서 위의 작업들을 수행하는 CDataBase라는 사용자 정의 클래스를 만들고 구현 □ 준비 작업 ○ stdafx.h에 다음을 import 한다. /* DB 사용을 위한 설정*/ #import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ADO\msado15.dll" rename("EOF", "EndOfFile") /* DB 파일 압축을 위한 설정*/ #import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ado\msjro.dll" no_namespace /* DB 파일 생성을 위한 설정*/ #import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ado\msadox.dll" using namespace ADODB; using namespace ADOX; ※ ADO(msado15.dll) 자체에서는 DB 파일 생성과 압축에 대한 라이브러리가 없기 때문에 각각에 필요한 DLL 파일을 Import 해야 한다. 하지만 ADOX(msadox.dll)와 단순히 같이 Import하면 충돌하기 때문에 서로 namespace를 지정해 준다. 또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일부 코드는 msadox.dll를 Import할 때 rename 혹은 no_namespace 옵션을 주곤 하는데 이를 위와 같이 해제한다. ○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 프로젝트의 메인파일 (TestDlg.cpp)의 BOOL CTestDlgAPP::InitInstance()에 다음 내용을 추가 /* Ole 컨트롤의 지원을 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함*/ AfxEnableControlContainer(); if (!...

VIDEO_DXGKRNL_FATAL_ERROR on Windows 8.1

Windows 8.1 로 업데이트 이후, Booting 시 Blue Screen 이 뜨면서, VIDEO_DXGKRNL_FATAL_ERROR 또는 SYSTEM_SERVICE_EXCEPTION (atikmpag.sys)  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때, 아래와 같이 조치해 보십시오. 제어판 -> 전원 옵션 -> 설정 변경 덮개를 닫으면 수행되는 작업 선택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 종료 설정 -> 빠른 시작 켜기(권장)의 Check Box 를 해제함.